말랑말랑 창의생각 창의조직
작가
믹스
게재일
2023.06.08
예상 소요시간
10분
어느 날 회사에서 🌸꽃 이모지가 가득한 메일을 받았습니다. <말랑말랑 생각법>의 북콘서트 관련 업무 메일이었습니다. 일정에 대한 친절한 안내와 인사말들이 담겨있는 것을 보고, 책의 저자 한명수님의 메일임을 바로 알 수 있었습니다.
<말랑말랑 생각법>은 인생을 위한 창의력에 관한 책입니다. 그러나 창의력에 대해 열렬한 찬사를 보내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왜 창의적인 사람이 되고 싶은지 묻고, ‘창의적으로 보이는 것’들에 대해 되돌아볼 수 있게 합니다. 그리고 일상과 일터에서 창의력을 발휘하여 즐겁게 사는 법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어떻게 하면 일도 즐겁게 할 수 있을까요? 혹시 위 메일을 보며 이런 걱정을 하진 않으셨나요? ‘상대방이 장난이라고 오해하면 어쩌지?’ 그래서 믹스 에디터가 직접 뵙고 여쭤봤습니다. 우아한형제들 CCO 한명수님의 Q&A 세션, 그리고 북콘서트 현장에서 공유된 생생한 인사이트까지. 한명수님의 표현을 빌려 ‘글맛을 살려서’ 적었으니 본문의 내용을 통해 꼭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번 강연은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더에스엠씨 사옥에서 내부 직원분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는데요. 항상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리기 위해 고민하는, 즐겁게 일하고 싶은 창의 노동자분들이 모여 한명수님의 생각을 듣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어려운 것을 말랑말랑하게 만드는 창의 노동자
‘얼마 전에 냄비 받침대를 만들었더니, 초대해 주셔서 강연을 하게 되었다’는 말에 모두의 웃음으로 북콘서트가 시작되었습니다. 한명수님은 우아한형제들(배달의 민족) CCO(Chief Creative Officer), 아무 관계가 없는 아저씨, 회사에서는 명수님, 창의 노동자를 섬기는 사람 등 다양한 표현으로 본인을 소개했습니다. 지금까지 몸담았던 회사들과 현재 직장에서 일하는 모습들을 공유하며, 말랑말랑하게 생각하는 새로움과 즐거움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했습니다.
이런 의자는 누가 만들었을까요?
‘의자’라고 한다면 모두가 떠올릴 수 있는 전형적인 형태의 의자가 있습니다. 반면 아래 사진처럼 완전히 새로운 형태로 태어나는 의자도 있죠. 두 의자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한명수님은 흔한 의자와 창의적으로 보이는 의자의 차이를 프레임을 통해 설명했습니다. 흔한 의자는 ‘의자를 만들어라’라는 과제를 받으면 만들어지는 의자입니다. 의자라는 두 글자를 듣는 순간 ‘내가 알고 경험한 의자’라는 프레임 안에 들어가, 등받이와 4개의 다리가 달린 일반적인 형태의 의자를 떠올리게 됩니다.
그러나 ‘의자를 만들어라’라는 과제가 아닌 ‘앉는 것을 만들어라’라는 과제를 받으면 어떻게 될까요? ‘왜 앉지?’ ‘누구와 앉지?’ 등 다양한 의문이 생기고, 그것에 스스로 답하며 새로운 형태의 앉는 것을 떠올리게 됩니다. 한명수님은 의자라는 단어를 쓰지 않는 것만으로도 프레임에서 나와 더 유연하고 말랑말랑한 생각을 떠올릴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창의성은 어디에 필요해요?
흔히 사람들은 예술에 창의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한명수님은 창의성은 모든 분야에 필요하며, 오히려 예술은 기술로 가득하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체육에도 창의성은 필요하다고 말하며 높이뛰기 종목을 예로 들었습니다. 높이뛰기가 스포츠로 인정받았을 때, 사람들은 모두 배가 바닥을 향하게 한 상태로 장애물을 뛰어넘었습니다.
높이뛰기 선수들은 100년간 이 자세를 유지했습니다, 1968년 딕 포스베리가 처음 뒤로 뛰기 전까지. 딕 포스베리는 배면뛰기를 처음 선보인 해에 올림픽에서 우승합니다. 그리고 경기 이후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한명수님은 위 인터뷰가 감명 깊었다 말하며, 창의성이 왜 필요한가에 대한 물음과 오랜 관습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자연스러움을 찾아낸 거예요. 그전까지 100년간 사람들은 부자연스러움을 반복한 거예요. 오랫동안 해왔던 기술의 반복을 우리는 ‘으레’라고 해요. 세상에서 가장 편한 거예요. 어려운 말로 관습이라고도 해요. 몸에 밴 것, 어떤 누구도 생각하지 않는 것이에요. 왜? 생각해 봤자 귀찮잖아요. 창의성은 왜 필요할까요? 어려운 질문이지만, 이 인터뷰를 보면 무언가 반짝 떠오르는 느낌이 들어요.”
자연스러움이란 어떤 걸까요?
한명수님은 겉과 속이 일치하지 않을 때, 부자연스럽고 불편해지는 것이 문화의 특성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설명에서 겉과 속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10초 간편 회원가입하고
이어서 열람해요!
이어서 열람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