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pixel

유튜브 콘텐츠로 지속 가능하게 돈을 벌 수 있을까?

작가
더에스엠씨
게재일
2025.02.10
예상 소요시간
5분
written by, 더에스엠씨
마케팅 베스트셀러 <콘텐츠 머니타이제이션 (2021)>, <숏폼 콘텐츠 머니타이제이션 (2022)>, <크리에이터 콘텐츠 머니타이제이션 (2024)>을 출간했습니다.

콘텐츠는 업계를 불문하는 필수 마케팅 전략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콘텐츠 마케팅을 활발히 해오던 소비재 브랜드 이외에도 금융업계, 건설업계까지 소셜 채널을 운영하지 않는 브랜드가 드물어지고 있죠. 그리고 이제 콘텐츠는 브랜딩을 넘어 직접 수익까지 이어질 수 있는 ‘비즈니스’로써 고도화되고 있습니다.
image block
지난 1월 21일, 트레바리 강남 아지트에서는 <유튜브 콘텐츠로 지속가능하게 돈을 벌 수 있을까?>를 주제로 한 북토크가 진행되었습니다. <크리에이터 콘텐츠 머니타이제이션>의 저자인 김용태 더에스엠씨 대표가 최근 콘텐츠 트렌드를 분석하고, 앞으로의 콘텐츠가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제시했는데요. 그 인사이트를 키워드로 요약해 살펴보겠습니다.

STEP 1. 콘텐츠 트렌드 파악


1️⃣ 관심 지표 | Interest Graph
과거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이름 그대로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소셜 기능에서 출발했지만, 오늘날에는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사용자들 간의 연결점을 만들어주는 플랫폼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제 그 범위가 확장되어 매스 미디어를 대체하는 매스 네트워크 서비스(Mass Network Service)로써 성숙기에 접어들고 있죠.
2️⃣ 자아 큐레이션 | Identity Curation
유튜브 알고리즘은 내가 어떤 콘텐츠를 보고, 선택하고, 어떤 검색어를 입력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하나도 빠짐없이 학습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알고리즘은 곧 나의 아이덴티티를 대표하는 지표이자, 알고리즘을 활용한 초개인화 전략은 미래 콘텐츠 비즈니스의 쟁점이 되었습니다.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음악이나 영화를 추천해 주는 서비스가 여러 플랫폼에 보편화된 것처럼, 이제 개인 맞춤 콘텐츠 추천은 금융이나 여행 상품 등 라이프 스타일 전반에 걸친 영역으로 점점 더 확장되어 나갈 겁니다.
3️⃣ 헤비 팔로워 | Heavy Follower
image block
덱스를 비롯한 출연진의 팬덤을 브랜드의 헤비 팔로워로 유입시킨 마켓컬리 <냉터뷰> 시리즈
콘텐츠가 고도화되는 만큼 채널 성장 지표도 다각화되었는데요. 구독자 수 증가보다 주목해야 할 것이 바로 '헤비 팔로워'입니다. 헤비 팔로워란 단순 시청이나 구독 그 이상으로 크리에이터와의 유대감을 쌓은 이들을 일컫는데요. 헤비 팔로워를 확보해야만 이들을 팬, 그리고 팬덤까지 끌어오고, 뷰(view)당 단가로 책정하는 콘텐츠 수익 이외에도 다양한 비즈니스를 시행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할 수 있게 됩니다.
4️⃣ 찐 리얼리티 | Real Reality
image block
격투기 선수 추성훈의 소소한 일상을 담아 화제를 모은 채널 <추성훈>
가상의 캐릭터일지라도 이 캐릭터를 생동감 있게 설정하는 것만으로 하나의 리얼리티가 형성되는 것이 오늘날의 시대상입니다. 이때 콘텐츠는 사람들이 보고, 듣고 싶어하는 것을 대변하죠. <숏박스>와 같은 페이크 다큐멘터리에 모두가 공감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입니다. 그리고 이제는 대본이 아니라 현실 속 인물 그 자체를 살린 콘텐츠, ‘찐 리얼리티(real reality)’가 재차 주목받습니다.
10초 간편 회원가입하고
이어서 열람해요!